라벨이 사법인 게시물 표시

사법 관련 소고 - 남의 사법을 평하기 전에 자신부터 돌아보자

활터에서 불붙기 좋은 주제라 가능한 상호 언급을 자제하는 것 중 하나가 사법 즉, 쏘임새와 관련된 내용들이다. 활꾼들은 수련의 끝에 결국 자기만의 사법을 하나씩 구축하게 되는데, 이것은 곧 자존심과도 관련이 있는 터라 하나같이 고집이 세고, 쉽게 바꾸려고 들지도 않는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쏘임과 관련된 문제는 사대를 물러나서도 해당 지위에 있는 사람이 조용히 정중히 묻는 것이 사정예법이고, 특히 다른 활터에서 오신 분께 이를 언급하는 것은 대단한 결례라 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아직 활을 제대로 배운 지 몇 년 되지도 않은 신사가 남의 사법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그 자체로 적절치 않으며, 언급을 한다 해도 자기가 아는 테두리 안에서 겨우 이론 정도나 배운 우물 안 개구리일 가능성이 높다. 온라인 커뮤니티나 활터에서 한번씩 인상 찌푸리게 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쏘임새에서 배울점을 찾고자 하지도 않고, 그저 악플남기기를 하며 나름 예의 바른 척 하는 사람들이다. 이런 분들은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에서도 남의 쏘임새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떠들어대길 좋아한다.  그 심리를 파악해 보면 인정욕구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보통 저런 분들이 추구하는 사법은 흔히 말하는 옛사법 또는 온깍지라 불리는 쏘임새인 경우가 많다. 옛 전통 사법을 되살리는 노력은 그 자체로 존중받을 만 하나, 그 자부심이 넘쳐 흘러 다른 사람의 인정을 강요하는 꼴을 넘어서서 이제 남을 깎아내리는 태도로 발전하게 되면 그건 그 자체로 폭력이 될 뿐이다. 다른 사람의 사법을 평하기 전에 거기에서 배울 점이 있는지 살펴보자. 하다못해 그 사법이 내 눈에 나빠 보이면 배우지 않을 점을 찾을 수 있으니 그건 그거대로 좋은 것이다. 다른 사람이 나의 사법에 대해 질문한다면 아는 선에서 대답하자. 묻지도 않은 내용을 먼저 가르치려 들지 말자. 우리 활이 발전해 가는 이유는 다양성의 존중에 그 바탕이 있음을 잊어서는 안되겠다.

반바닥에 제대로 활이 들어 오도록 쏘기

최근 틀어진 쏘임을 교정할 실마리를 드디어 찾았다. 부사범님의 도움으로 원인들을 하나씩 풀어가니 근본적인 문제를 발견했다.  얼마전부터 줌손을 꼼지락 거리며 과하게 틀어쥐는 버릇을 고치고 있는데, 줌손을 가만히 잡기만 있으려니 계속 앞만 나고 있었다. 앞 나는 문제를 다시 잡으려 다양한 시도를 했다. 덕분에 궁체는 많이 좋아졌다는 얘길 듣게 되었지만 여전히 현상을 완전히 고치진 못했다. 턱에 닿는 위치를 조금더 바깥쪽으로 올려 주안과 수직이 되는 위치로 고쳤다. 그리고 현을 그걸로 교체했다. 거궁시 활을 조금 돌려잡아 번바닥을 충분히 밀어 넣고 당겨보려 했다. 중구미를 확실히 엎어 펴서 줌손을 세게 만들려 했다. 활을 당기면서 화살대를 훑어 과녁을 보는 습관을 들이기로 했다. 하지만 이 모든 노력에도 원래대로 표를 보면 화살은 살짝 앞이 났다. 표를 과녁 왼쪽으로 옮기면 살이 가운데로 들어오기는 하나, 표가 과녁 밖에 있게 되어 영 불편했다. 표를 옮기지 않고 화살의 탄착군을 안쪽으로 옮기고 싶었다. 우선 부사범님의 도움으로 문제 원인 찾기에 돌입 했다. 일단 내가 손에 맞춘답시고 깍아 놓았던 줌통을 표준형으로 다시 원상복귀 했다. 줌통을 잡고 당겨보니 손바닥 아랫쪽, 즉 반바닥 반대쪽에 힘이 걸렸다. 애초에 줌통의 아랫쪽을 깎아 밀어버린 이유도 이 부분이걸렸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게 잘못된 길로 빠진 선택이었다. 손바닥의 잘못된 부분을 누른다는 말은 줌손에 힘을 잘못 주고 있었다는 뜻이었다. 활을 처음 배울 때, 노뼈에 힘이 걸리도록 해야 된다는 걸 들었었는데, 어느덧 까먹고 내 마음대로 고쳐가며 쏘고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한 나의 올바른 해법은 활을 당겨 열때 부터 반바닥쪽에 힘이 걸리도록 하여 그것을 발시때까지 유지하는 것이었다. 그러자면 거궁 자세부터 교정되어야 했는데, 거궁시 활을 최대한 앞으로 기울이고 그 상태의 줌손 하삼지를 단단히 잡고 당기면, 반바닥에 틀어 잡히는 힘이 제대로 걸린채 만작할 수 있었다. 균형이 잡힌 상태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