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배움인 게시물 표시

활쏘기 배움은 콩나물 물주듯이

사범님이 활쏘기는 콩나물에 물주듯이 하는 거라고 하셨다. 콩나물을 직접 길러본 적은 없지만, 어릴적 어머니가 쓰셨던 콩나물 재배 기계가 기억난다. 자동으로 물을 자주 주도록 하는 기계였다. 콩나물 기르기의 핵심은 물을 조금씩 자주 주는 데에 있다. 활쏘기 배움도 이와 같다. 매일 조금씩 꾸준히 습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요즘 몸으로 깨닫는다. 매일 활쏘기의 첫번째 좋은 점은 내 몸의 변화를 빠르게 알아차리고 따라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일주일에 한번 습사를 하게 되면 그 동안 바뀐 근육의 상태, 줌팔과 등힘의 변화 등을 따라가기 어렵다. 그냥 그 몸의 상태에 다시 맞춰서 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매일 조금씩 하게되면 몸의 변화를 깨닫기 쉽다. 자주 고치기 때문에 변화를 따라 잡는 일도 수월하다. 이러고 보면 활쏘기는 좋은 습관을 만들어 배우는 게 아닌가 한다. 평상시의 자기관리가 이처럼 중요한 종목도 없을 것이다. 평상시에 과하지 않게 꾸준히 연습하는 것만이 잘 쏠 수 있는 지름길이다. 그런 의미에서 요즘 진행하는 루틴을 기록해둔다. 나중에 잘 맞지 않을 때 이 기록을 돌아보고 반성할 수 있길 기대한다. * 매일 아침 습사 4-5순 * 매일 플랭크 2회. 버틸때까지 * 한손 보조 푸쉬업 3회. 3일에 한번 * 고무줄 당기기 10회. 어깨 회전 힘 기르기 3회. 3일에 한번 * 스쿼트 매일 1회. 회당 40번 * 고무공 쥐어짜기. 매일 자주. 매일 하는 훈련과 회복 속도를 고려해서 일주일에 2회 정도 하는 훈련으로 구성해두고 실행하고 있다. 스쿼트는 할 수 있는 때가 잘 나지 않아 계단 오르기로 대체했었는데, 그나마 코로나로 인해 계단 구역이 폐쇄되어 자주 못하고 있다. 하체 힘이 버텨주지 못하면, 많이 쏠 수록 빠르게 무너진다. 다리가 튼튼해야 하는데, 따로 훈련하지 않으면 안 될 듯 하다.

습사일지 - 오늘만 같아라

이미지
원하는 대로 쭉쭉 나가서 과녁을 잘 맞췄다. 오전에 잠깐 내고 오느라 4순 밖에 내지 못한 게 아쉽다. 3순 마지막 5시는 맞출수 있었는데 몸에 힘을 바짝 주는 걸 잠시 방심 했더니 과녁 앞에 콕 하고 떨어졌다. 3시나 4시에서 불발이 하나씩 나온다. 1, 2 시를 맞추고 나면 마음이 방심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오랜만에 좋은 시수가 나와 기분이 좋았다.

활 배웁니다.

이미지
 새로운 취미를 찾아 국궁을 배워보기로 한지 4개월이 지났다. 짧은 기간 동안 배운 게 적지 않은 데 그것들을 기록을 해두면 나중에 체계를 잡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기록을 통해 취미 생활을 지속하고 더 재밌게 즐길 수 있다면 그걸로도 이유는 충분하다고 본다. 활쏘기와 관련된 정보들을 정리하고, 습사를 하며 배운 것들을 기록하기 위한 노트로 "활 배웁니다" 블로그를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