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동안 변화 쏘임의 변화
겨울 동계 훈련을 나름 잘 해냈다고 생각했지만, 날이 풀리니 뭔가 많이 틀어졌다. 옆에서 봐주는 사람 없이 혼자 열심히 습사한 탓일까 싶다. 활 공부는 반드시 옆에 함께하는 도반들이 있어야 한다. 자신이 집중해서 활을 쏠 때 자신의 쏘임을 정밀하게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등 촬영 기기들의 성능이 좋아져 어느 정도 도움은 되지만, 역시 눈썰미 좋은 명궁 하나를 당해낼 순 없다.
이번 봄이 되면서 제일 먼저 겪은 문제는 간혹 나왔던 넘어가는 살들이었다. 이를 잡으려고 앞손 윗장에 힘을 줘 아래로 내리누르려 했다. 그에 따라 앞손에 추가된 힘만큼 반대 손인 깍지팔에도 힘이 추가되어야 했고, 화살 한 발 쏠 때 양 팔에 과하게 힘이 들어가게 되었다.
원래 같았으면 이 정도로 힘을 주는 건 몸이 버티지 못했을 텐데, 겨울에 혹시 힘이 빠질까 했던 밴드 당기기로 궁력이 충분했던 상황이라 그냥 힘을 주면서 쏘는 것도 해볼 만했던 모양이다. 이때부터 활을 순전히 힘으로만 쏘기 시작한 것 같다. 그러면서 쏘임이 흩트려졌다.
특히 습사에서는 힘을 주고 쏠 수 있었지만, 대회장에 가면 몸이 긴장하여 두 팔에 균형 있게 힘을 주는 것이 더욱 어려웠다. 이대로는 그냥 넘어갈 수 없을 정도로 큰 문제가 생겼다고 느끼게 된 건
대회 후 쏘임 교정에 대한 코멘트를 받고, 힘을 빼고 웃장 누르는 건 중지하고, 깍지를 과하게 뒤로 당기지 말고 화살 길이만큼만 당긴 후 그대로 발시하는 것을 연습했다. 처음엔 어색한 느낌이 들었으나 몇 번 반복하다 보니 감이 찾아왔다. 동계 훈련 전에 한창 시수가 좋을 때 느꼈던 것과 닮아 있었다. '그래, 이거였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나마 이제 몇 년 쏴봐서 요령이 생겼는지 원래의 감각으로 빠르게 되돌아가고 있다. 하나씩 잘못된 것을 부러뜨려 가며 살피다 보니 다른 길로 얼마나 멀리 와버렸는지 새삼 느껴졌다. 그래서 쏘임을 옆에서 서로 자주 봐주는 것이 정말 중요하고, 활은 혼자 쏘지 말라는 이야기가 괜히 있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