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올 한 해 쏘임 공부 정리

 활 쏘기를 하면서 쏘임을 고쳐 갈때 마다 트위터에 남긴 기록들이다.

https://twitter.com/search?q=%40ssoamat%20%23%EC%8F%98%EC%9E%84%20since%3A2022-01-01%20until%3A2022-12-31&src=typed_query&f=live

  • 1월 : 겨울 훈련 중. 깍지만 조용히 톡 떼는 걸 연습 중. 쏘임을 몸에 익히기 위해 주살질과 빈활 당기기를 병행.
  • 2월: 줌손을 단단히 내리 눌러 잡는 걸 익히는 중. 살대가 너무 턱밑으로 내려가는 걸 방지하기 위해 얼굴을 훑어 내리다가 멈추는 방법을 적용.
  • 4월: 너무 과한 힘을 주지 않도록 할 것. 목디스크 재발.
  • 5월: 디스크로 휴식하는 중에 궁력이 많이 빠짐. 죽머리가 앞쪽으로 너무 들어오는 문제가 생김. 잘 안 맞음
  • 6월: 견갑골을 당겨 고정시키고, 반바닥으로 제대로 밀어주며 발시하기. 만작까지 자잘한 움직임들이 너무 많음. 일단 이런 상태로도 시수가 나오니 그대로 진행. 깍지팔에 힘을주고 단단히 잡아 당기는 걸 익힘.
  • 7월: 만작까지 만들어가는 과정이 여전히 많이 불안함. 시수는 괜찮게 나오는 중. 발시 직전까지 하나의 자세를 천천히 만들어 가서 굳힐 수 있어야 하는데 뜻대로 잘 안됨. 힘이 과하게 들어가서 생기는 문제들이 빈번해짐. 얼굴을 돌리지 말고, 정면을 보도록 유지한채 활과 화살이 와서 붙을 수 있도록 연습.
  • 8월: 깍지손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해 생기는 문제들 발생. 개궁하며 줌손이 표 밑으로 내려갔다가 올라오면서 표를 잡는 걸 고쳐보려 함. 등힘을 제대로 쓰지 않으면 죽머리가 솟아오르게 됨. 발시때 활체가 줌손 검지 손가락 끝을 치는 문제가 생김. 손톱이 충격으로 파여 통증 생김.
  • 9월: 쏘임이 무너지는 느낌. 깍지손 팔꿈치가 반듯하게 당기지 못하고 아래로 쳐짐. 가슴근육이 긴장하면 등힘을 더 써야 하고, 과한 힘이 들어가서 조준을 정확히 못하게 됨. 흉허 의 의미는 가슴에 힘을 주지 말라는 뜻. 
  • 10월: 견갑골에 힘을 줘 당기는 걸 또 까먹음. 개궁시 줌손이 표자리를 단번에 찾아가야 되는 데 잘 안됨. 깍지팔꿈치 올리기를 만작 자세에서 수정하려 함. 
  • 11월: 줌팔 펴는 타이밍이 바뀜. 줌팔을 나중에 펴려 하면 힘이 들어 제대로 펴기가 어려움. 비정비팔 각도에 의문이 생김. 골반을 너무 앞쪽으로 돌린 게 아닌가 싶음. 줌손 검지 손가락 치는 문제는 해결이 안됨. 중구미를 제대로 엎어 펴지 않은 경우도 생김. 
  • 12월: 너무 높이 거궁하는 듯 해서 거궁 높이를 표보다 주먹 한개 정도로 조정. 줌손을 박아놓고 당기는 식으로 궁체 교정. 활을 틀지 않으려 했으나 이건 너무 어려움. 일단 당기면서 조금 틀어 단단히 쥐고 쏘니 다시 시수가 남.
적고 나니 참 다이나믹 하다. 이래서 활쏘기 배움이 끝이 나지 않는 것 같다. 활쏘기란 자기 자신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고 깨우치는 데 본질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 겨울에 연습하고 있는 궁체로 단단히 굳힌 다음 내년에 가까운 대회들도 자주 나가볼 생각이다. 열심히 연습해 보자. 활 배웁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화살이 계속 앞 날 때 체크사항

줌손 흘려잡기

궁수의 역설을 이해해 보자.